
부부의 공동재산 | 재산분할 대상이 되는 재산은 원칙적으로 혼인 중 부부가 공동으로 협력해서 모은 재산으로서 부부 중 누구의 소유인지가 불분명한 공동재산입니다. 부부의 공동재산에는 주택, 예금, 주식, 대여금 등이 모두 포함되고, 채무가 있는 경우 그 재산에서 공제됩니다. |
---|---|
부부 일방의 특유재산 |
혼인 전부터 부부가 각자 소유하고 있던 재산이나 혼인 중에 부부 일방이 상속·증여·유증으로 취득한 재산 등은 부부 일방의 특유재산으로서 원칙적으로 재산분할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. 다만, 다른 일방이 그 특유재산의 유지 및 증가를 위해 기여했다면 그 증가분에 대해 재산분할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. |
퇴직금·연금 등 장래의 수입 |
이혼 당시에 이미 수령한 퇴직금·연금 등은 재산분할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이혼 당시 부부 일방이 아직 재직 중이어서 실제 퇴직급여를 수령하지 않았더라도 이혼소송의 사실심 변론종결 시에 이미 잠재적으로 존재해 그 경제적 가치의 현실적 평가가 가능한 재산인 퇴직급여채권도 재산분할의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봅니다. |
채무 | 혼인 중 부부 일방이 제3자에게 채무가 있는 경우 그것이 부부의 공동재산형성에 따른 채무이거나 일상가사에 관한 채무라면 재산분할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 경제활동을 책임지는 과정에서 빚을 떠안은 부부 일방이 이혼을 청구할 경우 그 빚도 재산분할청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 |
그 밖의 재산분할대상 |
혼인 중 부부 일방이 다른 일방의 도움으로 변호사, 의사, 회계사, 교수 등 장래 고액의 수입을 얻을 수 있는 능력이나 자격을 취득한 경우에는 이 능력이나 자격으로 인한 장래 예상 수입 등이 재산분할의 액수와 방법을 정하는 데 참작될 수 있습니다. |
이혼 소송에서 변호사가 필요한 이유는?
이혼 소송은 각 가정의 사정에 따라 쟁점이 매우 세분화되어 있는 영역입니다.
너무 적극적이어서 또는 너무 소홀해서 원하는 바를 명확히 이뤄낼 수 없는 매우 섬세한 영역이기도 합니다.
일반 상식선에서는 분명 명확한 이혼 사유가 있음에도
법 상식에서는 상당히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초기부터 탄탄한 준비가 필요합니다.
변호사는 이혼 문제에서 의뢰인이 받은 상처를 아우름과 동시에
문제 해결을 위한 사실관계 파악, 증거 수집, 변론 및 기일 출석 등 전반을 담당하게 됩니다.
전문성 · 300건 이상의 성공 사례 보유· 가사법전문변호사로서의 노하우 |
![]() |
· 초기 대응부터 변론까지 | · 변호사 직접 담당 |
· 상담내용 비밀보장 | · 실효성 있는 자문과 전략 제공 |